본문 바로가기
  • Transportation & Vehicle
반응형

자동차71

자동차 연비개선 기준 강화와 ISG 2020년 8월 30일 환경부에서는 오는 2030년까지 자동차 온실가스 배출허용 기준을 현행 97g/km에서 70g/km로, 연비 기준은 24.3km/l에서 33.1km/l로 목표를 강화했다. 이에 따라 국내 완성차 업체는 더욱 거센 친환경차 전환 압박을 받게 될 예정이다. ​ 전기차는 온실가스 배출 0이며,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므로 연비 기준 또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전기차를 많이 판매할수록 온실가스 배출허용 기준 및 연비 기준 충족이 용이하다. 하지만 전기차는 내연기관 차량보다 1.5~2배 정도 비싸다. 보조금이 없다면 소비자들의 선택지에 오르기가 어렵다. ​ 그래서 완성차 업체에서는 기존 내연기관 차량과 이질감이 크지 않은 하이브리드 모델들을 늘려나가고 있다. 하이브리드는 저속에서는 .. 2023. 1. 7.
내연기관 자동차의 난방장치 자동차의 난방장치는 겨울철 실내를 따뜻하게 하고, 앞유리가 수분 등에 의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히터의 열원으로서 가장 활용하기 좋은 것은 바로 내연기관에서 발생하는 열이다. 이것을 이용한 것이 온수식 난방장치이다. 하지만 운전 초기에는 엔진이 뜨거워지는데 시간이 다소 소요되므로 난방 성능이 떨어지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보조 히터가 장착되기도 한다. 그 종류로 연소식 난방장치, PTC 난방장치, 가열플러그(글로우 히터) 난방장치 등이 있다. ​ 1) 온수식 난방장치 - 엔진을 냉각하는 냉각수를 이용해서 난방을 한다. 히터유닛, 송풍기, 호스, 덕트 등으로 구성된다. 엔진 냉각수 호스에 병렬로 호스를 연결하고 열교환기(히터코어)를 설치하여 냉각수가 흐르게 한다. 공조장치에서 공기가 열교환.. 2022. 12. 30.
디젤엔진의 DPF(Diesel Particulate Filter)와 LNT(Lean NOx Trap) DPF는 디젤 차량의 배기가스 중 미세 매연 입자인 PM(Particulate Matter)을 포집하고, 연소시켜 제거하는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이다. 디젤 차량이 내뿜는 PM은 DPF를 통해서 50~80%까지 줄일 수 있다고 한다. DPF는 운행 중에 배기가스에 섞여있는 PM을 포집하고 있다가 필터에 먼지가 어느정도 차게 되면 먼지를 태우는 연소 작업을 시행한다. 이것을 재생(Regeneration)이라고 한다. ​ 재생이 이뤄지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조건은 온도를 600℃ 이상으로 10분 이상 유지시켜야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재생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배기가스에 의한 재생방식: 필터에 포집된 PM의 양이 어느정도 찼다고 감지될 때 ECU에서 엔진의 정밀 제어를 통해서 배기가스 온도를 상승시켜.. 2022. 12. 21.
디젤엔진의 연소과정 디젤엔진의 연소과정은 4단계로 구분된다. 1) 착화지연기간 → 2)화염전파기간 → 3)직접(제어)연소기간 → 4)후연소기간 ​ 1) 착화지연기간(A-B 구간) - 디젤유(경유)가 연소실에 분사되는 기간이다. 연료가 분사되어도 착화가 일어나지 않으며 압력도 압축 압력 곡선을 넘어가지 않는다. 분사된 연료는 고온 고압의 공기와 만나 증발하면서 착화가 가능한 혼합기가 형성이 된다. 이 구간의 길이가 디젤 엔진의 성능 및 배출가스에 영향을 주는데 짧을수록 좋다. 연료가 착화성이 우수하고 입자가 미세하며, 공기가 고압이고 고온일 수록 이 기간을 짧게 만들 수 있다. ​ 2) 화염전파기간(B-C 구간) - 경유가 착화되어 폭발적인 연소가 일어나는 기간이다. 착화와 동시에 모든 연료가 연소되어 연소실 내 압력은 급상.. 2022. 11. 22.
타이어의 구름저항 구름저항(또는 회전저항)은 자동차가 주행할 때 발생하는 저항이다. 노면의 굴곡, 타이어 접지부 변형, 타이어와 노면의 마찰로 발생한다. 원인은 크게 세가지로 나눌 수 있다. ​ 1) 타이어 구성재료의 내부 마찰에 의한 저항: 타이어와 노면의 접지부분에서 끊임없이 반복 굴곡운동을 하므로 여기에서 생기는 에너지 손실이 대부분을 차지(80%~95%) 2) 타이어가 회전하여 나아가는 것에 따른 공기저항: 저속 주행에서는 무시 가능 3) 타이어와 노면간의 미끄러짐에 의한 마찰 저항: 곡률을 가진 타이어가 평면 접지를 하기 때문에 접지 처음부터 접지 끝까지의 사이에 노면과 미끄러짐을 일으키는데 그 때의 마찰저항 ​ 구름저항은 타이어가 새 것일수록, 공기압이 작을수록, 차속이 클수록 크다. 구름저항 계수는 공기압에 .. 2022. 11. 22.
자동차 제작 결함 조사, 제조물 책임법(PL : Product Liability)과 리콜(Recall) 제도 자동차 제작결함 조사는 자동차 안전운행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는 소비자 결함 정보에 대하여 조사를 시행하여 결함으로 인정되는 경우 제작자가 그 결함을 무상으로 시정해 주는 제도이다. 소비자 및 시민단체의 제작결함신고, 언론보도 등 결함정보에 의하여 정부가 즉시 조사를 시행하여 결함 해소에 노력하고 제작사의 자발적 리콜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 제조물 책임법(사후 조치)이란(법률 제 14764호) 제조물의 결함으로 발생한 손해에 대한 제조업자 등의 손해배상 책임을 규정함으로써 피해자 보호를 도모하고 국민생활의 안전 향상과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조업자는 제조물의 결함으로 생명, 신체 또는 재산에 손해(그 제조물에 대하여만 발생한 손해는 제외한다)를 입은 자에게 그 손해를 배상.. 2022. 11. 22.
마일드 하이브리드(MHEV : Mild Hybrid Electric Vehicle) 일반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엔진에 전기모터가 추가되어 저속으로 달리거나 정속 주행 시에는 전기모터로만 달릴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전기모터로 달릴 때 엔진은 연료 소모를 하지 않으므로 같은 주유량으로 주행거리를 10~20% 정도 늘릴 수 있어 각광을 받는 시스템이다. ​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에도 모터와 배터리가 있다. 하지만 일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는 다르게 여기서 모터는 엔진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차량 시동을 걸때 작동하고, 가속할 때 부가적인 동력을 제공하여 도움을 주며, 제동 시 회생제동 시스템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한다. 48V 배터리를 주로 사용하므로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라고 주로 불린다. 일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가장 큰 차이점은 전기모터만으로 차량을 구동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마.. 2022. 11. 22.
인휠 모터(in-wheel motor) 인휠 모터는 전기자동차의 구동 모터가 엔진룸이 아닌 각 바퀴 휠 안에 장착된 구조이다. 구동 모터만 휠 안에 장착하여 기존 서스펜션 시스템과 공존하는 기본적인 형태의 인휠 시스템, 그리고 구동 모터와 함께 제동, 조향, 현가 시스템 전체를 휠 안에 장착하는 통합 인휠 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인휠 모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독립제어: 각각의 바퀴를 차량 상황에 따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별도의 변속기 없이도 차량을 전진 및 후진시킬 수 있으며 주행 시 회전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제자리에서 360도 회전까지도 가능하게 된다. 주차 상황에서 매우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2) 부품수 감소: 후륜구동 또는 사륜구동 자동차의 경우 프로펠러 샤프트, 차동기어와 같은 장치들이.. 2022. 11. 22.
전기자동차의 회생제동시스템의 원리 회생제동이란 달리고 있는 차량이 속도를 줄일 때 발생하는 마찰 운동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해 회수함과 동시에 제동력을 발휘하는 전기자동차의 핵심 기능이다. 자동차의 브레이크 역할을 하면서 전기에너지도 회수할 수 있어 전기차 주행거리 향상에 필수적인 기능이다. ​ 내연기관 자동차의 경우 자동차 제동 시 엔진 브레이크, 그리고 브레이크 패드의 마찰을 통해서 제동을 하게된다. 이럴 경우 자동차의 운동에너지는 열에너지로 전환되고 이는 회수되기 어렵다. 하지만 전기차의 전기모터는 전류가 흐를 때는 기계적 에너지를 생성하며, 역으로 전기모터에 기계적 에너지가 가해질 때는 전자기 유도 현상에 따라 전기 에너지가 생성이 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해서 별다른 큰 장치 없이 전기차에는 회생 제동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 2022. 11. 22.
신규제작자동차의 실내공기질 관리기준의 적용대상 자동차와 권고기준 이 규정은 자동차관리법 제33조의 3 제 1항에 따라 신규제작자동차의 실내 내장재로부터 방출되는 인체 유해물질에 대하여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적용대상 차량은 승용자동차, 경형 및 소형승합자동차(특수형 제외), 경형 및 소형 화물자동차(특수용도형 제외)이며 국내에서 연간 500대 이하로 판매되는 자동차는 적용대상에서 제외한다. 권고기준은 다음과 같다. 출처: https://www.law.go.kr/LSW/admRulLsInfoP.do?admRulSeq=2100000177221#AJAX 관련문항: (차량기술사 2021년 125회차 1교시 10번 문제) 자동차 관리법령에서 정하는 신규제작자동차의 실내공기질 관리기준의 적용대상 자동차와 권고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022. 11.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