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Transportation & Vehicle
반응형

자동차/법규) 인증, 안전기준, 자동차관리법11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에 의한 승용자동차의 종류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에 의한 승용자동차의 종류(경형, 소형, 중형, 대형)를 배기량과 길이, 너비, 높이로 구분 1) 경형: 초소형과 일반형으로 구분한다. - 초소형: 배기량 250cc 이하이고, 길이 3.6m, 너비 1.5m 높이 2.0m 이하인 것 - 일반형: 배기량 1000cc 미만이고, 길이 3.6m, 너비 1.6m, 높이 2.0m 이하인 것 2) 소형: 배기량 1600cc 미만이고, 길이 4.7m, 너비 1.7m, 높이 2.0m 이하인 것 3) 중형: 배기량 1600cc 이상 2000cc 미만이거나, 길이 너비 높이 중 어느 하나라도 소형을 초과 4) 대형: 배기량이 2,000cc 이상이거나, 길이 너비 높이 모두 소형을 초과하는 것 2023. 11. 29.
자동차 에코이노베이션 인정기술 에코이노베이션 기술이란 연비·온실가스의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없는 온실가스 배출 저감 또는 에너지소비효율 기술을 의미한다. 인정 기준: ① 자동차의 성능 또는 안전성과 관계있는 기술 ② 연비·온실가스 고시에 따른 측정방법으로 온실가스 배출 저감 또는 에너지 소비효율 개선 효과 측정이 불가능한 기술 ③ 운전자의 영향 및 기술 설명이 가능해야 하며, 운전자가 항상 사용하는 기술이 아닌 경우에는 사용빈도계수를 결정하여 적용 에코이노베이션 기술 리스트는 아래와 같다. 1. 에어컨 냉매 누기 감소 기술 - 냉매의 누출이 지구온난화에 영향을 주므로 누기 감소 기술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저감량을 기준에 따라 산정한다. 사용 냉매의 종류에 따라 지구온난화 지수는 다르게 적용된다. 2. 에어컨 효율 개선 기술 -.. 2023. 3. 9.
공인연비 측정 시험(5-Cycle) 기존의 자동차 연비 표시 방식은 1975년 미국 LA 도심 지역 차량 흐름을 반영한 CVS-75 모드로 단순히 시내 주행 상황만 반영되어 있었다. 이는 자동차의 시내 주행 뿐 아니라 고속 주행, 급가속 및 급 제동, 에어컨 가동 주행, 외기 온도 저온 주행 등 차량을 이용하는 모든 상황을 다 반영하지는 못했다. 이것을 반영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 바로 5-cycle 방식이다. 자동차가 거동하는 모든 상황을 반영해 연비를 계산한다는 것이다. 5-Cycle은 아래 5가지 시험 모드를 의미한다. ① FTP-75 모드(도심주행 모드) 측정 방법 ② HWFET 모드(고속도로주행 모드) 측정방법 ③ US06 모드(최고속·급가감속 주행모드) 측정방법 ④ SC03 모드(에어컨 가동 주행 모드) ⑤ Cold FTP-75 .. 2023. 2. 28.
전기차 평가항목 및 적합기준 전기승용차 차종별 평가 항목 및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1회 충전 거리 - 상온 120km 이상(초소형 차는 도심 주행거리 60km 이상) - 저온: 상온 주행거리의 70% 이상(초소형 제외) 2. 최대 등판 능력 - 25% 이상 3. 인터록 안전장치 - 충전기 연결상태에서는 차량의 구동에 의한 이동이 불가능해야 함 4. 주 배터리 차단장치​ - 주 배터리 차단 장치를 설치하고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설치 위치를 알려야 함 5. 비상등 작동 여부 - 주 배터리가 분리·방전되거나 직류변환장치(DC/DC 컨버터)가 고장인 경우, 비상등이 최소 한 시간 이상 연속 작동해야 함 6. 배터리 종류 - 양극소재로 리튬을 사용하는 배터리 또는 동등 이상 성능을 가진 배터리로서, 법령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구.. 2023. 2. 18.
자동차의 공차중량_차량 총중량_기준중량 공차중량 → 일반 차량: 자동차 + 연료 최대 + 윤활유 최대 + 냉각수 최대 + 예비 타이어 + 표준부품 + 50% 이상 장착되는 선택사양 중 원동기의 동력을 사용하는 에어컨 동력핸들 등을 포함한 무게 → 경유차 중 ECE15, EUDC 모드 시험 차량: 자동차 + 연료 최대 + 윤활유 최대 + 냉각수 최대 + 예비타이어 + 표준공구 + 운전자무게(75kg) 차량 총중량 → 일반 차량: 인원 인당 65kg x 승차정원 + 최대 적재량 물품 → 경유차 중 ECE15, EUDC 모드 시험 차량: 인원 인당 75kg x 승차정원 + 최대 적재량 물품 기준 중량 → 위에서 정의된 공차중량에 운전자 중량(75kg)을 뺀 상태에서 100kg을 더한 수치 ​ 원문 출처는 아래와 같다 "공차중량"이란 자동차에 연료,.. 2023. 2. 6.
자율주행자동차의 안전운행요건 자율주행자동차의 안전운행요건은 아래와 같다. 1) 자율주행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에 고장 발생 시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장치가 있을 것 2) 운행 중 운전자가 언제든 자율주행기능을 해제할 수 있는 장치를 갖출 것 3) 교통약자의 보행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 국토교통부장관이 인정하여 고시한 구역에서는 자율주행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것 4) 운행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갖출 것 5) 자율주행자동차임을 확인할 수 있는 표지를 자동차 외부에 부착할 것 6) 자율주행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에 원격으로 접근하는 행위를 방지하고 대응하는 기술이 적용될 것 원문은 아래와 같다.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26조의2(자율주행자동차의 안전운행요건) 1. 자율주행기능(운전자 또는 승객의 조작 없이 자동차.. 2023. 2. 5.
충돌 시험(대차, 컴포넌트) 대차 시험은 차량과 유사한 형태의 모형 차량을 만들고 전면에 알루미늄 블록을 부착하여 차량과 충돌시키는 시험이다. 이 대차는 MDB(Moving Deformable Barrier)라고도 불린다. 현재는 주로 측면충돌안전성 평가에 대차 시험이 쓰인다. K-NCAP의 측면충돌안전성 평가 시험에서는 시속 55km의 속도로 자동차의 측면에 수직으로 충돌하는 상황을 재현한다. 컴포넌트 시험은 차량의 충돌 시 충돌 에너지 흡수와 연관되는 부품들을 단위별로 평가를 하는 것을 의미한다. A필러, B필러, C필러 등의 차체 부분을 부분적으로 가져와서 지그에 매달고 단위별로 충돌시험을 실시하여 성능을 확인한다. 단위별로 취약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설계적으로 보완해야할 점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https.. 2023. 1. 20.
자동차 튜닝에 대하여 1) 튜닝의 정의 (자동차 관리법 제2조 11항) 자동차의 튜닝이란 자동차의 구조ㆍ장치의 일부를 변경하거나 자동차에 부착물을 추가하는 것을 말한다. 2) 자동차의 구조 및 장치가 동시에 변경되는 경우에는 자동차 관리법상에 따라서 같은 날에 튜닝 승인 및 튜닝 승인 금지 대상 (자동차 튜닝에 관한 규정 제10조(튜닝승인 및 검사의 제한)) 다음 각 호와 같이 구조 및 장치가 동시에 변경되는 경우에는 같은 날에 튜닝승인과 튜닝검사를 시행할 수 없다. ① 특수형 승합자동차로의 변경 ② 특수용도형 화물자동차로의 변경 ③ 특수작업형 특수자동차로의 변경 ④ 기타 공단에서 별도로 정하는 사항 3) 자동차 관리법상 튜닝승인의 세부기준에서 승인이 되지 않는 대상 (자동차 튜닝에 관한 규정 제5조(튜닝승인 세부기준)) 다.. 2023. 1. 17.
자동차 관리법 상 환불 및 교환(레몬법) 자동차 관리법 제47조의2(자동차의 교환 또는 환불 요건) 자동차제작자등이 국내에서 자동차자기인증을 하여 판매한 자동차가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 해당 자동차의 소유자는 인도된 날부터 2년 이내에 자동차제작자등에게 신차로의 교환 또는 환불을 요구할 수 있다. 1. 하자발생 시 신차로의 교환 또는 환불 보장 등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이 포함된 서면계약에 따라 판매된 자동차 2. 구조나 장치의 하자로 인하여 안전이 우려되거나 경제적 가치가 현저하게 훼손되거나 사용이 곤란한 자동차 3. 자동차 소유자에게 인도된 후 1년 이내(주행거리가 2만 킬로미터를 초과한 경우 이 기간이 지난 것으로 본다)인 자동차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동차 가. 원동기ㆍ동력전달장치ㆍ조향장치ㆍ제동장.. 2023. 1. 15.
자동차 제작 결함 조사, 제조물 책임법(PL : Product Liability)과 리콜(Recall) 제도 자동차 제작결함 조사는 자동차 안전운행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는 소비자 결함 정보에 대하여 조사를 시행하여 결함으로 인정되는 경우 제작자가 그 결함을 무상으로 시정해 주는 제도이다. 소비자 및 시민단체의 제작결함신고, 언론보도 등 결함정보에 의하여 정부가 즉시 조사를 시행하여 결함 해소에 노력하고 제작사의 자발적 리콜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 제조물 책임법(사후 조치)이란(법률 제 14764호) 제조물의 결함으로 발생한 손해에 대한 제조업자 등의 손해배상 책임을 규정함으로써 피해자 보호를 도모하고 국민생활의 안전 향상과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조업자는 제조물의 결함으로 생명, 신체 또는 재산에 손해(그 제조물에 대하여만 발생한 손해는 제외한다)를 입은 자에게 그 손해를 배상.. 2022. 11.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