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이란
기기간의 요청과 응답으로 이루어진 대화를 의미한다.
대전제: 1 요청, 1 응답의 원칙을 가진다 ← 프로그래머로서 이 개념을 항상 기억해야 함
예시) 웹 브라우저를 켜서 티스토리에 들어가기 위해해 주소창에 주소를 입력할 때 기기는 우리가 접속하고자 하는 서버에 접속시켜달라는 요청을 받게 된다. 이렇게 해서 성공적으로 웹 브라우저에 창이 뜨게 되면 응답이 성공적으로 이뤄졌다고 보면 된다. 우리가 계속 요청을 했지만 응답이 이뤄지지 못해 벌어진 사태가 카카오톡 불통 사태이다.
컴퓨터 간의 Communication(대화) 종류
1) 컴퓨터와 컴퓨터 간의 대화(학교의 수강신청 관리 서버)
2) 스마트폰과 서버의 대화(음식 주문의 앱 서비스)
3) 나의 스마트폰과 친구 스마트폰의 메신저
HTTP의 정의
H: Hyper T: Text T: Transform P: Protocol (S: Security)
http(s)는 기기(스마트폰)에 상관없이 문자로 통신할 수 있는 방식 / 운영체제와 관계없이 문자로 통신할 수 있는 방식 / 웹브라우저에 상관없이 통신할 수 있는 방식을 의미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웹은 이 방식을 사용한다. 각각 다른 SYSTEM(OS)에 같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이 hyper text의 장점이다.
예시) 티스토리 사이트에 들어갈 때 폰, 맥, Window 중 아무거나 사용해도 동일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Hyper Text의 종류
*Parsing(파싱)
문자를 특정한 형태로 잘라서 필요에 따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JSON 명함 형태를 파싱한다면 명함의 이름, 회사, 번호를 분류하여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게 자른다는 의미이다.
'컴퓨터 > 앱 & 웹 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WAS와 Front-end(UX, UI) (0) | 2023.03.26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