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계어란 일상에서 우리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이진수의 명령체계로 이뤄진 것.
생활에서의 기계어: TV on/off, 컴퓨터 on/off, 에어컨 on/off
기계어는 실제로 단순하진 않다. 컴퓨터에 이름을 입력한다면 조금 더 복잡한 형태의 이진수로 인식을 해서,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문자로 변환하여 우리에게 보여지게 된다.
실직적으로 기계가 인식하는 기계어는 010101001010 이런 형태이다.
복잡한 기계어를 사람이 사용하기 쉽게 만들어 기계를 활용하게 하는 것이 기계와 소통하는 엔지니어이다.
우리는 일상 언어로 기계와 소통을 하고 있어 직접 기계어를 사용하지는 않는다.
이미 엔지니어들이 일상 언어를 기계어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것이 바로 코딩이다.
반응형
'컴퓨터 > 컴퓨터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컨트롤이 다른 이유, 운영체제 (0) | 2023.03.15 |
---|---|
프로그래밍 언어로 소통하는 개발자 (0) | 2023.03.15 |
댓글